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

주의력결핍 파괴행동장애(ADHD)의 분류 정의 주의력결핍 파괴행동장애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 및 적대적 반항장애가 있습니다. 파괴행동이란 타인의 신체적 혹은 재산상 손해를 끼치는 행동뿐만 아니라 자리 이탈, 소리지르기, 화내기, 앙심품기 등 어떤 환경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모든 행동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분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주로 7세 이전의 초기 아동기에 발생하며, 심하게 움직이고 부산스러운 과잉행동, 집중력이 짧고 끈기가 없어 쉽게 싫증을 잘 내는 주의산만, 참을성이 적고 감정 변화가 많은 충동적 행동의 3가지의 행동 특성을 갖습니다. 쉽게 산만해지고 일을 끝까지 완수하지 못하고 팀 활동을 어려워하며 분노를 한꺼번에 표출하고 난폭하고 충동적이며 물건을 잘 잃어버리고 떼를 씁니다. 또한 위험한 행동을 하고 말이 많으.. 2024. 4. 11.
아동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종류 전반적 발달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상동행동, 관심 및 활동 등 여러 발달 영역에서 심하게 전반적으로 손상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자폐장애 자폐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장애, 행동장애 및 활동과 흥미 영역의 제한으로 마치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자폐 아동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아 자폐 장애의 경우에는 눈맞춤을 피하고, 사람의 말소리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안기려고 팔을 내밀지도 않으며, 감정이 무디고, 표정도 거의 없습니다. 사람과 애착행동을 보이지 않고 유대감을 형성하지 못하며, 사람이 아닌 대상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자폐 아동은 격리불안이나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을 보이지 않습.. 2024. 4. 10.
발달장애 아동의 특징과 관리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뇌의 운동중추 손상으로 운동 및 체위조절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 널리 적용되는 용어입니다.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영구적 신체장애로 비진행성이며, 인지, 언어 지능장애가 함께 생기기도 합니다. 뇌성마비에서는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뇌성마비가 의심되는 영아는 물건 잡기와 혼자 앉기 등과 같은 특정한 운동발달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범위와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는데 비정상적인 자세, 근육긴장도와 변형, 원시반사의 지속으로 정상적인 운동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보통 앉기, 기기, 걷기와 같은 큰 운동기능이 지연됩니다. 또한 미세근육 운동이 영향을 받아 혼자 밥을 먹고 옷을 입는 등의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많은 아동이 시력장애, 지각.. 2024. 4. 9.
학습장애와 시각장애의 원인과 관리 학습장애 학습장애는 개별적으로 실시한 표준화된 읽기, 수학, 쓰기 검사의 점수가 나이, 학교 교육, 그리고 지능에 비해 기대되는 수준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올 때 진단이 됩니다. 지각장애, 뇌손상, 최소뇌기능장애, 난독증 및 발달상의 실어증 등이 포함되지만 시각, 청각, 운동기능 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또는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배경에 영향을 받았을 경우에는 제외가 됩니다. 학습장애의 원인으로는 기질적 생리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뇌손상 혹은 뇌기능 장애와 같은 뇌의 기질적 원인과 음식에 함유된 인공색소와 조미료 및 과일이나 채소에 있는 살리실산염 등이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리고 쌍생아나 환경적으로 불우한 아동들이 학습문제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학습장.. 2024.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