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9 영유아의 감기와 천식,폐렴의 위험성 감기 감기는 급성 비인두염을 말하는데 주로 바이러스 때문에 코와 목구멍을 포함한 상부 호흡기계에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감기는 가장 흔한 급성 질환 중 하나이며 특히 영유아는 어른에 비해 신체적으로 미숙하고 면역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감기가 주로 걸리고 증상도 더 심각할뿐더러 합병증도 생기기 쉽습니다. 감기 바이러스의 노출된 지 1~3일 후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는데, 감기 바이러스가 상부 호흡기계에 어느 정도 침투했는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아동의 연령, 기존의 앓고 있었던 질환, 면역상태 등에 따라서 증상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로 식욕부진과 재채기, 콧물과 코막힘, 목이 쉬거나 목구멍이 부어 음식이나 침을 삼키기 어렵고, 기침이나 미열, 두통 및 근육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 2024. 3. 30.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 아동기 안전사고는 부모나 육아교육기관의 교사가 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하며, 주어진 환경에서 안전하게 생활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길러 주어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체능력이나 인지발달 정도가 각각 다른 영유아들이 집단으로 생활하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모든 교사 및 직원들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인식하여야 합니다. 아동의 발달 특성은 위험요인과 관련성이 많은데 이를 이해하면 잠재적 위험요인이나 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사전에 방지하거나 효율적으로 대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안전교육의 내용이 아동의 이해범위, 발달수준에 맞아야 더욱 효과적이므로 유아 안전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합니다. 운수사고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연령층은 0~4세로 교통사고 사망 아동 중 44.. 2024. 3. 28. 영유아 중이염과 편도선염의 문제와 관리 중이염의 정의와 증상 귀의 중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영유아의 경우 주로 감기를 치료하는 도중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영유아기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이며 겨울에 발생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임상 증상에 따라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대부분 급성 중이염은 생애 첫 24개월 이내에 발생하며 5~6세에 약간 상승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이 점점 줄어듭니다. 중이염의 경우 귀에서 열이 나면서 귀가 아프다고 합니다. 심하게 되면 귀에서 고름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통증을 표현하지 못하는 영아의 경우 안절부절못하거나 아픈 귀를 부비거나 잡아당기고 머리를 이리저리 돌리기도 합니다. 특히 영아는 수유 시 귀에 압력이 가해지며 통.. 2024. 3. 25. 유아생활지도의 기본인 부모상담 부모상담 유아의 바른 생활지도를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생활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간의 연계 및 상호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생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점을 의논하여 함께 유아를 지도해야 합니다. 교사는 부모를 상담하여 가정에서의 문제 상황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바른 유아지도방법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역할도 필요합니다. 특히 유아의 문제행동의 대다수는 가정의 분위기나 부모의 양육태도, 혹은 가족간의 심리적인 갈등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상담은 유아의 생활지도에 도움이 됩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양육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과 자녀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의 부모들은 사회적인 변화로 인해 과거보다 자녀양육에 더 많.. 2024. 3. 23.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