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

영유아들이 불안한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하는 행동은 대물애착 유아들은 신체발달로 스스로 움직일 수 있고, 사회정서적으로 독립심이 강해지면서 주변 환경을 스스로 탐색하려는 욕구가 커집니다. 한편 낯선 환경을 탐색하는 것은 유아들에게 불안을 유발 시키기도 합니다. 유아들이 무서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양육자는 안전과 위로를 제공하는 지원자로서 유아들이 두려움을 조절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양육자의 도움으로 유아들은 안정감을 느끼고,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자유롭게 환경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양육자의 지원을 받지 못한 유아들은 환경을 탐색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불안한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특정 물건에 대한 애착 행동을 나타나게 됩니다. 양육자의 지원과 사랑을 받지 못한 유아는 자기 나름대로 조절 방법을 개발해 가는 것 입니다. 애착을 보이는 물건은 .. 2024. 3. 8.
영유아의 애착 대상자가 없어질 경우 느끼게 되는 격리불안 격리불안 유아들은 영아기에 양육자와 지속적으로 사랑의 감정인 애착을 형성합니다. 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한 영아는 애착 대상자가 없어지면 심한 격리불안을 나타나게 됩니다. 즉, 유아의 격리불안은 양육자와의 애착 행동에 의한 것으로 양육자와의 지속적인 유대감이 부족하여 유아들을 불안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유아들 간에는 개인차가 크고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는 유아가 있는가 하면 격리불안으로 엄마와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고, 계속해서 적응을 어려워하는 유아들이 있습니다. 보통은 6~8개월경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0~12개월에 가장 심합니다 .만 2세 이상이 되면서 애착 대상자가 주변의 여러 사람으로 증가하고 격리불안도 점차 줄지만, 낯선 상황에서는 한동안 불안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낯선 유치원이.. 2024. 3. 7.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 거짓말 거짓말이란 진실 아닌 것을 상대에게 믿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사실인 것처럼 꾸며 하는 말을 말합니다. 유아는 4세가 되어야 거짓, 신념을 이해하기 시작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아들은 상상과 현실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상상에 의한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상에 의한 거짓말은 의식적인 거짓말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이외에도 유아들은 벌을 받으리라는 두려움 때문에, 관심을 끌기 위해 종종 거짓말을 하기도 합니다. 이런 유아의 사소한 거짓말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유아가 습관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것은 불확실성이나 부적절감을 느끼거나 부모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즉, 유아들이 반복적이고 지.. 2024. 3. 7.
유아가 훔치는 행동이 나타날때 훔치는 행동훔치는 행동이란 자신의 소유물이 아닌 것을 소유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만 2~3세 정도의 유아들은 친구의 장난감이나 다른 사람의 물건을 갖겠다고 떼를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한두 번 정도는 다른 사람의 물건을 몰래 가지고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아직 내 것과 남의 것에 대한 소유개념이 발달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의 물건과 자신의 물건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덕적인 개념도 아직 발달 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자연스러운 성장과정입니다. 4세 정도가 되면 소유의 개념이 분명해지면서 자신의 물건과 다른 사람의 물건을 구분할 수 있고, 도덕성도 발달하면서 남의 물건이 갖고 싶어도 몰래 가져가면 안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됩니다. 소유개념이 생길 나이가.. 2024.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