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한 영유아의 미디어중독 미디어중독 미디어 중독은 TV, 컴퓨터 게임, 인터넷, 휴대폰 등의 지나친 사용으로 다른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 등 신체, 심리, 사회적인 면에서 부적응 또는 일탈을 경험하고, 미디어 사용을 중단하였을 때 불안을 경험하는 상태를 합니다 .과거에는 TV나 컴퓨터 게임에 대한 중독이 일반적인 문제엿다면 인터넷의 확장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중독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디어 중독 문제는 그동안 주로 청소년과 성인에게 국한되어왔으나, 점차 유아들의 문제로도 인식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의 자료에 의하면 인터넷을 하루 2.7시간 사용하는 만 5~9세 인터넷 중독 유아나 아동은 7.9%이며, 고 위험군에 해당하는 유아나 아동은 1.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 5~49세의 .. 2024. 3. 9.
스트레스 받는 유아는 어떻게 해야할까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사람들이 상황을 통제하고 극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때 생기는 것으로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흔히 불안, 긴장, 신경쇠약, 압박, 좌절, 걱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스트레스는 자기에게 부과된 요구 수준과 자신의 능력 간에 어떤 불균형 감각을 지각할 때 일어나는 심리,생리적 반응을 의미합니다. 스트레스를 받는 유아들은 피로나 위축, 배회, 부정적인 얼굴표정, 무반응, 반복적인 신체움직임, 자기 파괴 행동, 이탈, 한숨 쉬기, 말더듬기, 식사문제, 수면 문제, 두통이나 통증 호소, 부정적인 행동 짜증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유아의 스트레스 증상은 공격성, 퇴행 및 주의 끌기, 무관심이나 우울증과 같은 사회적 철회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최근 스트레스 증상은 나이와 상관없이 나.. 2024. 3. 8.
영유아들이 불안한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하는 행동은 대물애착 유아들은 신체발달로 스스로 움직일 수 있고, 사회정서적으로 독립심이 강해지면서 주변 환경을 스스로 탐색하려는 욕구가 커집니다. 한편 낯선 환경을 탐색하는 것은 유아들에게 불안을 유발 시키기도 합니다. 유아들이 무서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양육자는 안전과 위로를 제공하는 지원자로서 유아들이 두려움을 조절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양육자의 도움으로 유아들은 안정감을 느끼고,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자유롭게 환경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양육자의 지원을 받지 못한 유아들은 환경을 탐색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불안한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특정 물건에 대한 애착 행동을 나타나게 됩니다. 양육자의 지원과 사랑을 받지 못한 유아는 자기 나름대로 조절 방법을 개발해 가는 것 입니다. 애착을 보이는 물건은 .. 2024. 3. 8.
영유아의 애착 대상자가 없어질 경우 느끼게 되는 격리불안 격리불안 유아들은 영아기에 양육자와 지속적으로 사랑의 감정인 애착을 형성합니다. 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한 영아는 애착 대상자가 없어지면 심한 격리불안을 나타나게 됩니다. 즉, 유아의 격리불안은 양육자와의 애착 행동에 의한 것으로 양육자와의 지속적인 유대감이 부족하여 유아들을 불안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유아들 간에는 개인차가 크고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는 유아가 있는가 하면 격리불안으로 엄마와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고, 계속해서 적응을 어려워하는 유아들이 있습니다. 보통은 6~8개월경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0~12개월에 가장 심합니다 .만 2세 이상이 되면서 애착 대상자가 주변의 여러 사람으로 증가하고 격리불안도 점차 줄지만, 낯선 상황에서는 한동안 불안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낯선 유치원이.. 2024.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