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

유아기에 길러야 할 청결습관

by 절미르 2024. 3. 12.
반응형

청결습관

청결습관 지도는 유아가 청결의 필요성을 알고 스스로 청결을 유지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청결은 유아의 건강과 직접 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유아기에 길러야 할 청결습관은 양치질하고, 손과 발 씻기, 세수하고, 목욕하는 습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아들은 양치나 손 씻기, 세수하기 등을 놀이로 즐겁게 받아 들이게 됩니다. 그러나 간혹 지나치게 씻지 않거나 지나치게 청결하게 하는 유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일반적인 청결습관 지도와 함께 청결습관에 문제가 있는 유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지도를 해야 합니다. 유아들에게 손을 씻고, 이를 닦고, 목욕을 하는 것은 지도방법에 따라서 귀찮은 일이 될 수도 있고 즐거운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유아의 발달을 생각해서 매력적인 양치 컵, 칫솔, 유아용 치약, 비누, 수건 등을 준비해 주고, 교사가 바른 모델을 제공한다면 훨씬 더 쉽게 청결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청결습관의 문제

유아들에 따라서 씻는 것을 귀찮게 생각해서 잘 씻지 않는 경우가 있으나 점차 성장하면서 청결의 필요성을 알게 되고 스스로 청결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이 될 수 있습니다. 또는 지나치게 청결한 행동을 일시적으로 보일 수 있는데, 장기화 되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두 가지 문제가 장기적으로 지속된다고 하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지도가 필요합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잘 씻지 않거나 지나치게 청결한 유아들은 친구들에게서 외면당하거나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고 소극적이 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잘 씻지 않거나 지나치게 씻는 등의 청결습관의 문제는 심리, 정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문제들입니다. 특히 부모의 양육방법 및 모델은 유아의 청결습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청결습관의 지도 

유아의 청결습관 지도는 유아들에게 필요한 지도내용에 기초하여 적합한 방법으로 지도해야합니다. 유아들의 청결습관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청결을 유지해야하는 이유와 방법, 필요한 도구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교육해야 합니다. 즉, 자신의 몸에 대한 청결, 자신의 물건이나 주변의 정리 및 청결, 공공시설이나 물건의 청결한 사용, 도구의 사용방법 등을 지도 할 수 있습니다. 청결을 위한 도구와 물건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공시설물은 깨끗하게 사용하며 유아교육기관의 시설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매일 아침저녁으로 세수하고 목욕을 자주 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을 먹은 후에는 이 닦기 등 개인 청결을 중요하게 교육하며, 식사전후, 대소변 후, 바깥놀이 후에는 손씻기 등 기본적인 청결습관도 지도해야 합니다. 휴지는 쓰레기통에 버리고, 자기 물건이나 사용한 물건은 정리하는 습관도 지도해야 합니다. 유아들에게 바른 청결 습관을 갖게 하기 위해서 유아용 칫솔과 치약, 위생적인 양치 컵과 칫솔 소독기, 적절한 온수 제공 등 환경적인 배려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유아는 개인별로 유아용 칫솔과 양치컵. 유아용 치약을 제공하고 유아의 키에 맞는 세면대를 마련해줍니다. 소독기를 마련하여 칫솔과 양치컵을 주기적으로 소독하는 등 적절한 세면도구를 제공합니다. 화장실에 갔다 온 후나 간식 및 식사 전에 손 씻기, 간식 및 식사 후 양치질하기, 놀이 후 정리정돈하기 등 규칙적으로 씻고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유아들은 소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을 씻거나 양치하는 과정에서 옷이 젖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바로 갈아입힐 수 있도록 여벌의 옷을 준비합니다. 추운 계절에는 체온에 맞는 온수를 제공하여 씻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세수나 샤워, 목욕 등은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과 연계하여 부모가 유아의 청결을 지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억지로 씻기면 씻는 것을 거부하고 물이나 비누 등에 공포감을 가질 수 있으므로 놀이로 접근하여 유아가 씻는 것을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합니다. 교사는 매일의 생활 속에서 청결습관에 대한 태도를 지속적으로 지도하는 것과 함께 청결습관이 왜 필요한지의 필요성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동화나 이야기 나누기, 토의 등의 활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