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갑작스런 심장마비,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출 때 빠른 시간 안에 순환 및 호흡을 유지시켜 조직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흔히 심폐소생술은 의료종사자들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기본 심폐소생술은 조금만 배우고 익히면 일반인들도 응급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교사가 기본적인 심폐소생술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시행한다면, 아동의 손상을 예방하고 생존을 증가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장, 뇌, 그 외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호흡정지가 생기면 산소를 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신체에 저산소증이나 무산소증이 생기고 뇌와 심장기능이 소실되게 됩니다. 이어서 뇌 조직의 기능이 불과 몇 분 내 영구적으로 손상되거나 잃게 되고 심장, 폐, 또는 신체 각 기관의 기능도 손상 내지 상실되어 결국에는 사망하게 됩니다. 갑자기 심장이 정지되거나 폐의 기능이 정지됐을 때 심폐소생술 처치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시간은 극히 제한되어 있습니다. 만일 4~6분 동안 산소결필입 뇌에 생기게 되면 뇌세포가 아주 많이 손상됩니다. 6분 이상 동안 뇌에 산소공급이 되지 않으면 재생 불능의 손상이 뇌에 생기고 사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아동에게 갑자기 심정지와 호흡정지가 생기게 되면 심폐소생술을 평소에 배워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아기
1세 미만의 영아에서의 호흡 정지나 심정지는 대부분 기존의 선천성 질환에 의한 경우나 영아돌연사증후군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아돌연사증후군은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경우가 엎드려 자는 경우보다 발생이 적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아동은 엎드려 재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경우 아무런 전조 증상이나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고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더욱 당황스럽고 안타까운 상황을 맞이하게 됩니다. 또한, 영아는 유아와는 다르게 체구가 작아 유아와는 다른 방법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므로, 연령에 맞는 방법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만 소생술 자체에 의한 합병증을 막고 올바른 소생술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먼저 영아의 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머리를 뒤로 심하게 젖히면 오히려 기도가 폐쇄되므로 코와 입을 잇는 선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해야합니다. 영아인 경우 영아의 입과 코를 처치자의 입으로 막고 한번에 1초로 살살 숨을 불어 넣어야 합니다. 영아는 적은 양의 공기만 필요하므로 어른보다는 살살 숨을 불어 넣어야 하며 숨을 불어넣을 때 가슴이 올라오는지 확인하여 인공호흡을 합니다. 그 다음 1분당 100회 속도로 흉골의 아래 1/2 부위를 젖꼭지를 잇는 가상선에서 1개의 손가락 두께 아래 부위를 가슴 전후 깊이의 1/3에서 1/2정도를 압박합니다.
유아기
호흡이 멈추면 유아에게 올바른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은 유아의 생명을 유지하고 장애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혈액순환이 멈추면 몇 분 안에 영구 뇌손상이나 사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훈련된 응급구조사가 도착하기 전까지 이를 반복해서 실시하여야 합니다. 먼저 이름을 크게 불러 반응을 확인합니다.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심하게 흔들거나 움직여서는 절대 안됩니다. 그 후 유아의 턱을 들어 머리를 조심스럽게 뒤로 약간 젖혀 기도를 연 후 호흡 여부를 5~10초 확인합니다. 이 때 조심스러운 관찰을 통하여 호흡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호흡이 없는 경우, 코를 손가락으로 막고 유아의 입을 처치자의 입으로 막고 유아의 가슴이 올라오도록 2회 (한번에 1초 가량의 시간) 천천히 숨을 불어넣어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이후 흉부압박을 실시하는데 8세 미만 아동의 경우는 손바닥이 손목으로 이어지는 부분으로 아동의 흉골 아래 1/2 부위를 1분당 100회의 속도로 압박합니다. 누르는 힘은 가슴에서 등까지의 높이의 1/3에서 1/2정도 들어가도록 압박합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큰 아동인 학동기 어린이인 8세 이상의 경우는 어른과 같이 양 손을 포개어 흉골의 아래 1/2부위를 압박합니다. 손가락은 가슴에서 떼고 손바닥의 손목으로 이어지는 부분으로 압박합니다. 흉부압박 30회 시행 후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하여 시행 이후에는 30:2로 압박과 호흡을 교대로 실시합니다.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력결핍 파괴행동장애(ADHD)의 분류 (0) | 2024.04.11 |
---|---|
아동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종류 (0) | 2024.04.10 |
발달장애 아동의 특징과 관리 (0) | 2024.04.09 |
학습장애와 시각장애의 원인과 관리 (0) | 2024.04.07 |
영아돌연사증후군과 영유아 비만의 위험성 (0) | 2024.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