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

발달장애 아동의 특징과 관리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뇌의 운동중추 손상으로 운동 및 체위조절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 널리 적용되는 용어입니다.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영구적 신체장애로 비진행성이며, 인지, 언어 지능장애가 함께 생기기도 합니다. 뇌성마비에서는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뇌성마비가 의심되는 영아는 물건 잡기와 혼자 앉기 등과 같은 특정한 운동발달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범위와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는데 비정상적인 자세, 근육긴장도와 변형, 원시반사의 지속으로 정상적인 운동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보통 앉기, 기기, 걷기와 같은 큰 운동기능이 지연됩니다. 또한 미세근육 운동이 영향을 받아 혼자 밥을 먹고 옷을 입는 등의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많은 아동이 시력장애, 지각.. 2024. 4. 9.
학습장애와 시각장애의 원인과 관리 학습장애 학습장애는 개별적으로 실시한 표준화된 읽기, 수학, 쓰기 검사의 점수가 나이, 학교 교육, 그리고 지능에 비해 기대되는 수준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올 때 진단이 됩니다. 지각장애, 뇌손상, 최소뇌기능장애, 난독증 및 발달상의 실어증 등이 포함되지만 시각, 청각, 운동기능 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또는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배경에 영향을 받았을 경우에는 제외가 됩니다. 학습장애의 원인으로는 기질적 생리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뇌손상 혹은 뇌기능 장애와 같은 뇌의 기질적 원인과 음식에 함유된 인공색소와 조미료 및 과일이나 채소에 있는 살리실산염 등이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리고 쌍생아나 환경적으로 불우한 아동들이 학습문제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학습장.. 2024. 4. 7.
영아돌연사증후군과 영유아 비만의 위험성 영아돌연사증후군 1세 미만 영아의 갑작스러운 사망을 말하는데, 원인이 구명되지 않고 있는 질환입니다. 미국의 경우 1개월에서 1년 사이의 아동 사망의 3번째 원인이기도 합니다. 전형적으로 영아는 머리 위에 담요를 뒤집어 쓰고 흐트러진 침대 구석이나 바닥에 웅크리고 있습니다. 입과 콧구멍에 거품과 피가 섞인 액체로 가득 차 있으며, 영아는 분비물 속에 얼굴을 박고 있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기저귀는 젖고 대변으로 가득 차 있고 손은 죽기 전의 고통을 보여주듯이 시트를 움켜 쥐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초기 상황은 교사가 직면해야 할 공포와 더불어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쇼크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나 영아의 심폐조절을 담당하는 신경조절에서 뇌간의 이상과 관련성이 높습니다. .. 2024. 4. 6.
발열이 나타나는 영유아기 질병들 발작 발작(열성 발작)은 영유아가 의식을 잃고 몸의 일부가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거나 손과발, 얼굴 등을 떠는 증상을 말합니다. 흔히 경기 또는 경련이라고 불리며, 열성 발작은 고열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영유아의 일시적인 장애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열성 발작은 전신에 발생하게 되며, 5분 이하로 지속이 됩니다. 영유아가 의식을 잃고 몸의 일부가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거나 손이나 발, 얼굴 등이 뜨게 됩니다. 고열이 발병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38.8℃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하는 동안에 발생하게 됩니다. 발작의 원인은 특별한 이유가 없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나 반복되는 발작성 질환으로 인하여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유아가 하는 대부분의 발작은 열이 심해서 나타나는 열성 발작이며, 대개 별 .. 2024.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