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1 영유아 중이염과 편도선염의 문제와 관리 중이염의 정의와 증상 귀의 중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영유아의 경우 주로 감기를 치료하는 도중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영유아기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이며 겨울에 발생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임상 증상에 따라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대부분 급성 중이염은 생애 첫 24개월 이내에 발생하며 5~6세에 약간 상승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이 점점 줄어듭니다. 중이염의 경우 귀에서 열이 나면서 귀가 아프다고 합니다. 심하게 되면 귀에서 고름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통증을 표현하지 못하는 영아의 경우 안절부절못하거나 아픈 귀를 부비거나 잡아당기고 머리를 이리저리 돌리기도 합니다. 특히 영아는 수유 시 귀에 압력이 가해지며 통.. 2024. 3. 25. 유아생활지도의 기본인 부모상담 부모상담 유아의 바른 생활지도를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생활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간의 연계 및 상호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생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점을 의논하여 함께 유아를 지도해야 합니다. 교사는 부모를 상담하여 가정에서의 문제 상황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바른 유아지도방법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역할도 필요합니다. 특히 유아의 문제행동의 대다수는 가정의 분위기나 부모의 양육태도, 혹은 가족간의 심리적인 갈등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상담은 유아의 생활지도에 도움이 됩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양육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과 자녀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의 부모들은 사회적인 변화로 인해 과거보다 자녀양육에 더 많.. 2024. 3. 23. 기본생활습관의 안전생활 지도 안전생활 유아들은 호기심이 많아서 탐색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고, 충동적인 성향과 판단 능력의 부족으로 성인들보다 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훨씬 많습니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유아들이 많아지면서 유아들의 안전지도 및 안전교육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와 성인들은 유아들의 발달 특성에 기초하여 유아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유아들을 안전하게 돌보아야 할 뿐 아니라 유아 스스로 자신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전교육을 해야 합니다. 유아들은 신체, 인지, 사회,정서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유아교육기관에서 지내는 동안 추락, 외상, 화상, 중독, 이물흡입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 2024. 3. 22. 유아들의 성에 대한 호기심 문제 성적 문제 유아들은 성에 대한 호기심이 증가하면서 자신의 성기를 만지는 유아적 자위행위를 하거나 놀이와 장난을 통해 어른을 흉내내기도 합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는 유아의 성행동은 자신의 성기를 만지는 것입니다. 그 외에 화장실 안을 몰래 훔쳐보거나, 성과 관련된 말이나 욕설을 하는 경우, 자위행위를 하는 경우, 남아가 여아의 치마를 들치며 놀리는 경우, 서로의 알몸을 보여주며 놀이를 하는 경우, 여아가 남아처럼 일어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 서로의 성기를 보여주고 비교하거나 자랑하는 경우, 친구의 성기를 만지는 경우, 성인들이 성행위를 모방하는 경우, 성과 관련된 그림을 그리는 경우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이는 유아의 성역할 개념과 성에 대한 호기심이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유아의 성적 .. 2024. 3. 2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6 다음